웨지샷 3

100미터 이내 어프로치샷 : 얼마나 잘 붙여야할까? 프로라면 어떨까?

이제 어드레스를 조금 바꿔 슬라이스양도 줄이고, 에이밍에도 조금 신경을 썼더니 공이 생각보다 잘 안죽기 시작한다. 공이 빠져도 해저드에 들어가서, 타수 손해도 조금 덜보고 해저드티에서 샷을 하기 시작하면, 이제 슬슬 욕심이 생기기 마련이다. 깃대가 눈에 보이네? 가까워보이네? 붙여서 버디는 노려봐야지... 입은 아니라고 하지만, 이놈의 머리는 이미 혼자서 긍정회로, 행복회로를 실컷 돌리기 시작한다. 심지어 파5홀이라면? 나혼자 벌써 마음속에선 2온에 성공한 상황... 재미있는 통계자료가 있어서, 세컨샷을 할떄의 마음가짐에 도움이 될거 같아 가져오게 되었다. 같이 읽어보며, 멘탈 관리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외국 자료라서, 야드로 표시되어있기때문에 옆에 미터로 환산해 같이 표시 하겠다.) 파4홀. 나쁘..

골프노트 2020.11.15

백스핀 샷치는법 : 내 샷은 왜 그린에 안 세워질까?

골프대회를 시청하는 아마 골퍼들의 로망중 하나는 당연히 그린에 올라가 강력한 백스핀을 자랑하는 웨지샷이다. 첫 바운드 후 홀컵을 지난 골프공이 두번쨰 바운드 후 끼익 멈춰선 후 백스핀으로 다시 돌아오는 모습은 경이롭다. 그러나 아무리 열심히 공을 친다한들, 아마 골퍼 중 실제로 고회전 웨지 샷을 칠 수 있는 골퍼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은 슬픈 소식이다. 왜 그럴까? 나는 왜 그린 위에 못 세울까? 실제로 스핀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해해 보고, 나도 고회전 백스핀 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개선해보고 고민해보자. 백스핀 발생 원리 백스핀 발생량을 직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로는 '스핀 로프트(Spin loft)'가 있다. 임팩트 순간의 클럽 페이스 로프트각을 뜻하는 '다이내믹 로프트(Dynamic l..

골프노트 2020.11.09

어프로치샷 잘하는법 : 80미터 이하 거리조절

그린주변에서 어프로치샷 연습으로, 초단거리 (~5미터) 단거리 (~30미터) 어프로치샷에 감각이 늘었다고 해도, 그린에 Par온, 즉 그린적중을 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100미터 이내의 거리를 남겨뒀을 때 어프로치샷 또한 숙달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세컨샷이 이에 해당할 것 같다.) 항상 연습해서 스윙크기에 따른 거리감각이 몸에 새겨져 있으면 좋겠지만, 그 정도 연습량을 늘 가져가긴 어려우므로, 차선책을 택하기로 하였다. 1. 최대한 10미터 간격으로 짧은 거리를 칠수 있도록 클럽세팅. ㅡ 90미터까지 10미터 간격으로 풀스윙 그대로 가져갈 수 있도록 웨지 3자루 4도간격으로 피칭웨지 로프트각에 맞추어 세팅. 2. 풀스윙이 아닌 스윙크기는 웬만하면 2가지로 세팅. ㅡ 스윙크기 선택지를 줄이고, 원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