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자신의 스윙데이터를 타감이나 볼반응성 말고도 데이터를 통해서 분석할 수 있는 연습장이 많다.
비교적 저렴하게 접근할만한 곳들로는, GDR아카데미 연습장이라던지 혹은 여타 다른 실내 스크린 연습장이 있다.
연습도중 과연 내 샷은 어느정도 평균에 가깝고, 적정 수준의 샷인지 혹은 오해하고 있는 샷은 없었는지 체크하는 버릇은 스스로 좋은 피드백이 될 것이라 본다.
아래의 표는 PGA, LPGA 선수들의 데이터 평균을 적어둔 표인데,
데이터는 사실상 원탑의 스윙데이터기계라고 할 수 있는 트랙맨 회사의 표를 참조하였다. 개인적으로 평균적 아마추어 남성 골퍼라면 여자 프로의 데이터와 스윙데이터를 따라가려 노력하는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대략적 계산을 돕는 정보.
170 mph = 약 76 m/s
160 mph = 약 72 m/s
150 mph = 약 67 m/s
140 mph = 약 62 m/s
130 mph = 약 58 m/s
120 mph = 약 54 m/s
110 mph = 약 49 m/s
100 mph = 약 45 m/s
90 mph = 약 40 m/s
80 mph = 약 36 m/s
70 mph = 약 31 m/s
1야드 x 0.9 = 대략적 미터 거리
총 야드거리 - 총 야드거리x10 = 대략적 총 미터 거리
대략적 계산을 돕는 정보.
140 mph = 약 62 m/s
130 mph = 약 58 m/s
120 mph = 약 54 m/s
110 mph = 약 49 m/s
100 mph = 약 45 m/s
90 mph = 약 40 m/s
80 mph = 약 36 m/s
70 mph = 약 31 m/s
1야드 x 0.9 = 대략적 미터 거리
총 야드거리 - 총 야드거리x10 = 대략적 총 미터 거리
스윙데이터 각각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또 한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를 참조하며 연습해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요즘 저는 주로 발사각을 평균데이터와 비슷하게 만들어보려 노력중입니다.
'골프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장갑 으로 골프스윙, 골프장비 점검 해보기 (0) | 2020.11.09 |
---|---|
백스핀 샷치는법 : 내 샷은 왜 그린에 안 세워질까? (0) | 2020.11.09 |
그린 수리방법 : 피치마크 (볼자국) 수리하기 (0) | 2020.11.08 |
티샷 루틴 만들기와 에이밍 (0) | 2020.10.10 |
첫 라운딩 전 체크리스트 (0) | 2020.10.09 |